농작물 병해충잡초 진단과 약제 처방위해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 필요
[대학저널 온종림 기자] 전북대와 순천대, 한국농수산대, 국립농업과학원 등으로 구성된 농촌진흥청 항생제 농약 내성 최소화 모델 정책연구팀은 20일 전북대 농생대에서 ‘농작물 병해충잡초의 진단 및 약제 처방을 위한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 필요성’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심포지엄에서 전북대 김재수 농생물학과 교수는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의 노력으로 농약의 연구개발과 등록단계에서 전문성은 높아졌으나, 유통단계에서 전문성 제고가 추가로 필요하다”며 “이제는 농약의 안정성 확보와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통해 농약 사용의 정확성을 높이는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이를 위해 유통조직의 역량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승돈 국립농업과학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신규 병해충잡초를 방제하고, 약제 저항성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병해충잡초의 진단과 정확한 약제처방을 위한 식물의약사 제도를 면밀히 검토할 시기가 됐다”고 발표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과 관련 분야 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권덕호 한국농수산대 교수는 일본과 유럽, 미국의 병해충 진단 및 처방 관련 법과 지침을 소개하며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제조와 유통분야의 체계화뿐 아니라 실제 사용자에 대한 교육과 자격 부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농약 사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세진 순천대 교수 역시 “농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잡초 진단과 농약 처방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며 “식물의약사 제도에서는 병해충잡초 진단학, 작물보호제 처방학, 현장실습 등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대학저널(https://dh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