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별
- 전공
- 디지털정부, 성과관리
- 직위(직급)
- 조교수
- 전화번호
- 063-270-2951
- 이메일
- chb@jbnu.ac.kr
- 연구실
- 인문사회관 723호
학력
서울대학교 행정학박사
서울대학교 행정학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사(농경제학전공)
경력
[직업경력]
국립군산대학교 법행정경찰학부 조교수 (2024. 3.~ 2025. 8.)
한국행정연구원 정부조직디자인센터 초청연구위원 (2023. 9.~ 2023. 12.)
해군본부 재정장교 (2014. 3.~2017. 5.)
[학회 및 대외활동 경력]
한국디지털정부학회 (구.한국지역정보화학회) 연구위원장 (2025)
한국자치행정학회 총무위원장 (2025)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2025)
한국정책학회 영문편집위원회 위원(Editorial board member,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2025~)
한국정책학회 공공 인공지능전환(AX) 정책 특별위원회 이사 (2025)
한국정책학회 AI정책 및 ICT 정책 연구회 이사 (2025)
한국정책학회 공공안전정책연구회 이사 (2025)
농촌진흥청 민간조정위원회 외부위원 (2025)
국토교통부 익산국토관리청 청렴옴부즈맨 (2025)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디지털정책분석평가위원회 이사 (2025)
한국거버넌스학회 연구위원회 이사 (2025)
한국국정관리학회 빅데이터행정위원회 이사 (2025)
한국국정관리학회 규제혁신위원회 이사 (2025)
한국국정관리학회 미래도로교통위원회 이사 (2025)
한국국정관리학회시빅테크특별위원회 이사 (2025)
한국정책개발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2024~)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회 위원 (2024~)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24~)
전북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 과학치안정책자문위원 (2024~)
한국정책학회 연구위원회 이사 (2024)
한국정책학회 규제특별위원회 이사 (2024)
서울행정학회 규제연구특별위원회 이사 (2024)
The 21st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Government Research, Digital Government Society, Local Organization Committee Member (2020)
담당과목
정책분석및평가
재무행정론
행정학의이해
연구분야
디지털정부, 인공지능거버넌스, 조직성과관리
주요저서 및 논문
윤지웅 · 최한별. (2025). 공공부문 비대면 평가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량 추정: 디지털 전환의 환경적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8(2), 207-237. (Yoon, J. W., & Choi, H.(2025). Estimating Carbon Emission Reductions from Introducing Virtual Meetings in the Public Sector: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Digital Transform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28(2), 207-237.) http://dx.doi.org/10.22896/karis.2025.28.2.007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최한별. (2025). 인공지능 시대의 정책학자 역할 재조명: 전통적 정책학 이론과 Caplan의 ‘두 집단’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9(1), 163-190. (Choi, H.(2025). Reframing the Role of Policy Scholars for the Age of AI: Classic Policy Theories and Caplan’s “Two-Communities” Perspective. Public Policy Review, 39(1), 163-190.) http://dx.doi.org/10.17327/ippa.2025.39.1.007
최한별. (2025). 식품사막의 다차원 분석과 유형별 해소방안: 공간분석과 사례조사의 혼합접근. 한국비교정부학보, 29(1), 273-300. (Choi, H.(2025). Understanding Food Deserts through a Multi-Dimensional Lens: Type-Specific Solutions Based on Spatial and Case Study Analyse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9(1), 273-300.) http://dx.doi.org/10.18397/kcgr.2025.29.1.273
최한별. (2025). 성과관리 패러다임 변화와 지역정보화 성과: 공간적 접근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8(1), 1-36. (Choi, H. (2025). Performance Management Paradigm Shifts and Regional Informatization Performance: Spatial Perspec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28(1), 1-36.) http://doi.org/10.22896/karis.2025.28.1.001
최한별. (2024). 식품사막 현상의 공간적 접근: 전북 지역의 사례와 함의. 정책개발연구, 24(2), 149-189. (Choi, H.(2024). Spatial Approaches to the Food Desert Phenomenon: A Case Study of Jeonbuk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24(2), 149-189.) http://doi.org/10.35224/kapd.2024.24.2.006
황성수 · 성욱준 · 윤건 · 은종환 · 최한별. (2024). 디지털정부 연구의 현재와 미래: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영역에서의 인공지능에 관한 리뷰. 한국행정학보, 58(5), 359-387. (Hwang, S., Sung, W., Yoon, K., Eun, J., & Choi, H.(2024). The Present and Future of Digital Government Studies: Data-Driven Administration and AI for the Public Sector.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8(5), 359-387.) http://doi.org/10.18333/KPAR.58.5.359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신승윤 · 윤보성 · 진희승 · 최한별. (2024). 정부의 디지털 인재 정책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성과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8(4), 323-356. (Shin, S., Yun, B., Chin, H., & Choi, H.(2024). A Study on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Government's Digital Talent Polici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for Digital Workforce Training Program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8(4), 323-356.) http://doi.org/10.18398/kjlgas.2024.38.4.323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민희 · 최한별. (2024). 소셜 미디어 공간의 가짜뉴스 생산과 확산: 제20대 대선 사례. 시민사회와 NGO, 22(1), 117-148. (Min, H., Choi, H.(2024). Spread and Production of Fake News on Social Media: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Civil Society and NGO, 22(1), 117-148.)
최한별. (2023). 디지털 리터러시가 혁신 기술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의 단계적 접근을 중심으로. 디지털경제사회연구, 1(2), 99-123. (Choi, H., (2023). Digital Literacy and Percep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A Phased Approach to Digital Literacy. Journal of Digital Economy & Society, 1(2), 99-123.)
황한찬 · 최한별 · 신승윤. (2023).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정책 미세조정의 가능성: 세종시 공공자전거 어울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2(2), 57-83. (Hwang, H., Choi, H., Shin, S. Y.(2023). The Possibility of Policy Fine Tuning through Digital Twin Technology: The Case of Sejong City’s Public Bicycle Project. The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32(2), 57-83.) https://dx.doi.org/10.33900/KAPS.2023.32.2.3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Choi, H., Chung, C. S., & Cho, Y. (2023). Changes in planning approach: a comparative study of digital govern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Denmark. European Planning Studies, 31(5), 905-924. https://doi.org/10.1080/09654313.2022.2132787
황한찬 · 최한별. (2023).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지능적인 공공 정책 의사결정의 가능성: 증거 기반 시나리오에 기반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모델링. 한국행정학보, 57(1), 39-71. (Hwang, H., & Choi, H. (2023). Intelligent decision making in public policy through digital twin technology: Digital twin simulation modelling based on evidence-based scenarios.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1), 39-71.) http://dx.doi.org/10.18333/KPAR.57.1.39
Chung, C. S., Yi, M., & Choi, H. (2023).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Architectural Information System(SEUMTER) in South Korea.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11(1), 73-92. http://doi.org/10.23023/JPT.2023.11.1.085
윤지웅 · 안준모 · 최한별. (2022).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 R&D과제평가의 디지털전환 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 31(4), 1-26. (Yoon, J. W., Ahn, J. M., & Choi, H. (2022). Can digital transformation slow down climate change?: Evidence from transferring to online conferences.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1(4), 1-26.) https://doi.org/10.22897/kipajn.2022.31.4.001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최한별 · 김병조 (2022). 공공부문 일선 종사자의 스마트워크 만족도와 활성화 기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5(4), 61-94. (Choi, H., & Kim, B. J. (202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Smart Work among Street-Level Public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25(4), 61-94.) https://doi.org/10.22896/karis.2022.25.4.003
김필 · 최한별. (2022). 소득에 대한 열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지역경제수준 (GRDP)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5(4), 401-433. (Kim, P., & Choi, H. (2022). The Effect of Income Aspirations on Happiness: Focusing on GRDP difference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5(4), 401-433.) http://dx.doi.org/10.20484/klog.25.4.16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Chung, C. S., Choi, H., & Cho, Y. (2022). Analysis of Digital Governance Transition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for Government Innovation.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8(1), 2. https://doi.org/10.3390/joitmc8010002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신승윤 · 최한별 · 김동욱. (2021). 지방정부의 공공데이터 내용 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2), 129-171. (Shin, S. Y., Choi, H., & Kim, D. (2021). Analyzing Contents of Open Data in Korean Local Governments: A Text-mining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0(2),129-171.) http://doi.org/10.22897/kipajn.2021.30.2.005
[저서 및 북챕터]
최한별.(2025). 제7장 디지털전환 시대의 공공관리: 전자정부에서 인공지능(AI)까지. 노종호 편, 공공관리론 (pp.208-248). 박영사.
최한별. (2024). 제9장 인공지능 시대의 행정학: 역할과 도전 과제.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 ·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편, 인공지능 정부 (pp. 245-272). 윤성사.
김동욱 · 황한찬 · 최한별 · 신승윤 · 노재인. (2024). 도시, 디지털 트윈을 만나다. 윤성사.
최한별 · 조영민. (2024). 제9장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미래. 한국행정학회 정부의 미래 연구회 ·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센터 편,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미래 (pp.251-280). 윤성사.
김병조 · 최한별. (202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공기관 일선 종사자의 스마트워크. 한국행정학회 정부의 미래 연구회 ·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센터 편 , 스마트워크의 미래 2030 (pp.99-125). 윤성사. (Kim, B. J. & Choi, H.
그 외 최근 연구활동과 관련해서는 개인 홈페이지 참고 (https://sites.google.com/view/hb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