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우
- 세부전공
- 사회자본, 사회연결망, 사회적딜레마, 사회심리학, 공동체, 건강/웰빙, 소셜미디어
- 직위(직급)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 전화번호
- 063-270-4318
- 팩스번호
- 063-270-2921
- 이메일
- j-wkim@jbnu.ac.kr
- 사이트
- 한자이름
- 金在宇
학력
2010. 6 캘리포니아 주립대 리버사이드 사회학 (박사)
2003. 8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01. 2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주요경력
2024.07 - 2025.06 An Affiliated Professor of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사회학과)
2019.08 - 2021.08 사회학과 학과장
2019.01 - 2020.12 한국사회학회 연구분과 상임이사
2018.03 - 2020.02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지역과세계> 편집위원장
2018.01 - 2018.06 A visiting scholar of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사회학과)
2017.07 - 2017.12 A visiting scholar of San Diego State University (사회복지대학원)
2014.01 - 2017.06 <행복한 지역사회 구축을 위한 창조적 인재양성사업단> 부단장
2014.01 - 2014.12 한국사회학회 교육과진로위원회 상임이사
2010.07 - 2012.03 Tohoku University 사회계층 및 불평등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대표업적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감과 사회 정의 요인들 간의 관계: 세대 및 성별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발간예정, 사회과학연구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과 사회지배 성향이 청년층의 적극적 우대조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기회 불평등 인식과 능력주의 믿음의 매개 작용," 발간예정, 지역과세계 (박효민, 임동균 공저).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을 통해 들여다본 지방대학생들의 불평등과 공정성 담론: 문재인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3(1), 2024 (전아람, 김지혜 공저).
"Ethnocentrism in Unstructured Populations: Revis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bility and Scalability.” Sociological Theory and Methods 39(1), 2024 (with Hiroshi Hamada).
"전라북도 청년층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결정요인: 코로나 이전과 기간 중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24(3), 2023.
“How did #StopAsianHate and #BlackLivesMatter to react to each other after the Atlanta shootings: An analysis of Twitter hashtag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7, 2023 (with Jihye Kim).
“Teaching Social Dilemma through Simulating Cooperation: A Classroom Experiment.” Journal of University Teaching & Learning Practice 20(6), 2023 (with Robert A. Hanneman).
“불평등에 대한 능력주의 귀인과 집단 정체성이 공공재 게임 실험에서 협력 행동에 미치는 효과.” 지역과세계 46(4), 2022 (천거양 공저).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사회 22(1), 2021 (엄승범 공저).
"Different Roles of Social Participation i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Depressive Symptoms of Koreans across Age Groups and Gender," Journal of Public Health: From Theory to Practice, 2021.
"Subjective Social Class, Perceived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A Case of Mediation and Moderation across Gender," International Sociology 35(3), 2020 (with Chaeyoon Lim and Christina Falci).
"자살생각 위험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 및 사회관계와 활동참여의 조절 작용: 생애주기와 성별 차이 비교," 조사연구 21(1), 2020 (임지혜 공저).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 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행정논총 57(4), 2019.
"전라북도 청년층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가구소득 효과에 대한 동네환경, 사회관계, 사회활동의 조절역할," 지역사회학 19(3), 2018.
"한국사회 청년층의 자살생각 결정요인: 성별 및 거주지역별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과세계 42(2), 2018.
"Perceived Neighborhood Conditions and Happiness of Young Japanese and Koreans," Development and Society 47(1), 2018 (with Soon-Mi Lee).
"한국인과 일본인의 주관적 행복: 생애주기별 결정요인 비교," 한국사회학 51(4), 2017.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이 윤리적 소비 참여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사회자본과 공감 경험의 역할," 정보사회와미디어 18(2), 2017 (조반석 공저).
"한국 사회 청년층의 중심상담연결망: 2002년과 2011년 비교 분석," 사회과학연구 41(1), 2017.
"사회적 딜레마 강의실 실험 사례 연구: 협력적 규범의 영향 요인 탐색," 한국사회 16(2), 2015.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terminant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orea Observer 46(4), 2015.
“사회적 지지와 연결망 배태,” 한국사회학 49(1), 2015.
"Signal Reading, Relational Mobility, and Trus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8(3), 2014.
“Coevolutionary Dynamics of Cultural Markers, Parochial Cooperation, and Networks,"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58(2), 2014 (with Robert A. Hanneman).
"유역공동체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협력적 규범 지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21(1), 2013 (이경은, 김영정 공저).
“A Computational Model of Workers Protest,” Journal of Artificial Societies and Social Simulation 14(3), 2011 (with Robert A. Hanneman).
“A Tag-based Evolutionary Prisoner’s Dilemma Game on Networks with Different Topologies,” Journal of Artificial Societies and Social Simulation 13(3), 2010.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Sociological Academic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3(6), 2009.
발표논문 및 연구
연구비,장학금 및 수상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