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주 사진
조은주
세부전공
사회변동과 불평등, 사회이론, 가족, 젠더, 정치사회학, 지식사회학
직위(직급)
부교수
전화번호
063-270-2919
팩스번호
063-270-2921
이메일
echo@jbnu.ac.kr
사이트
한자이름
趙恩珠

학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주요경력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2021.9-현재)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부교수 (2019.9–2021.8)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조교수 (2015.9–2019.8)
연세대학교 SSK사업단 박사후연구원 (2012.10–2015.8)
Harvard-Yenching Institute 초빙연구원 (2008.9–2010.2)

한국사회학회 연구이사(2023-현재)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2022-현재)
한국사회이론학회 운영위원 (2022-현재)
한국인구학회 이사(2022-현재)
한국가족학회 이사 (2021-2022)
비판사회학회 연구위원장(2021)
비판사회학회 연구이사(2013–2019)
한국사회학회 총무이사(2018)
한국여성학회 연구위원 (2018)

『한국사회학』 편집위원 (2022-현재)
『사회와역사』 편집위원 (2014-2016, 2022-현재)

전주시 성별영향평가위원 (2023-현재)
전북대학교 여성연구소 운영위원 (2022-현재)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이사(2022-현재)

대표업적

[저서]
정태석 외. 2023. 『사회학: 비판적 시선』. 한울아카데미(공저).
김혜경 외. 2023.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다산출판사(공저).
백승욱 외. 2022. 『비판사회이론』. 한울(공저).
홍훈 외. 2022. 『경제학들의 귀환』. 박영률출판사(공저).
오경환 외. 2019. 『사회과학 지식의 담론사』. 한울아카데미(공저).
조은주. 2018. 『가족과 통치: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 창작과비평사.

[논문]
조은주. 2023. "‘제3의 장소’와 소셜미디어 - 청(소)년 세대의 경험세계에 대한 접근.” 『사회이론』 통권 제63호.
조은주. 2022. "비판의 두 차원과 메타비판의 실패: 2022년 대선과 ‘87년체제’의 종언.” 『경제와사회』 통권 제135호.
조은주. 2022. "세대론 비판 너머의 질문들.” 『개념과소통』 제29호.
Cho, Eunjoo and Ou-Byung Chae. 2021. "Nationalism, Mourning, and Melancholia in Postcolonial Korea and Japan,”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ostcolonial Studies 23(7).
조은주. 2021. "발전국가와 젠더: 통치의 성별화, 성별화된 주체화." 『역사비평』 통권 제134호.
조은주. 2020. "서사화되지 않는 꿈: 개인화와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의 삶.” 『현상과인식』 44권 4호.
조은주. 2019. "인구구조의 변화와 새로운 법규범의 요청: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비판.” 『법과사회』 제61호.
Cho, Eunjoo. 2016. "Making the ‘modern’ family: The discourse of sexuality in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South Korea,” Sexualities vol.19 no.7.
조은주. 2016. "1960년대 한국의 통계 발전과 지식 형성의 실천: 주한 통계 고문단(1958-1963)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38권 1호.
조은주. 2015. "인구의 출현과 사회적인 것의 구성.” 『경제와사회』 통권 105권.
조은주. 2014. "인구의 자연성과 통치의 테크놀로지: '가족계획어머니회'를 둘러싼 통치-과학의 관계.” 『현상과인식』 38권 4호.
조은주. 2014. "인구통계와 국가형성: 1960년, 1966년 한국의 인구센서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8권 5호.
조은주. 2013.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역사주의: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통권 98권.
조은주. 2008. "여성 하위주체에서 "성노동자" 운동으로: 사회운동에서의 감정과 동원.” 『경제와사회』 통권 78권.
조은주. 2001. "파업과 계급형성: 노동자들의 경험과 계급의식의 형성.” 『산업노동연구』 7권 2호.

발표논문 및 연구

[발표(최근 2년)]
조은주. 2023. "저출산 사회와 ‘가족 없는 자본주의’.” 한국사회이론학회 정기학술대회.
조은주. 2022. "2차 인구학적 전환과 ‘가족 없는 자본주의’: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비판사회학회 가을국제학술대회.
조은주. 2022. "정치적 감정, 유기적 지식인, 그리고 인정의 위기.” 제23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조은주. 2022. "플랫폼 사회의 청소년과 디지털 불평등.” 2022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엄 <디지털 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
조은주. 2021. "모성실천(mothering)과 계급재생산: 불평등 재생산 기제로서의 교육과 가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기타]
조은주. 2022. "한국 가족에 대한 역사적, 구조적, 이론적 접근을 향하여—이재경(2022), 『한국 가족-신가족주의에서 포스트가부장제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여성학 제38권 2호. pp.183∼190
조은주. 2022. "가족의 다양성에 관한 소고.” 고려대학교 다양성위원회. Diversitas 27호.
조은주. 2021. "인구에 대한 역사적 접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인구로 보는 한국현대사—사람,숫자』 특별전 전시도록.
조은주. 2019. "가족의 탄생: 우리가 아는 ‘그 가족’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대산문화』 73호.
조은주. 2019. "재생산의 정치적 지평을 확장하기: 성과재생산포럼 기획(2018), 『배틀그라운드: 낙태죄를 둘러싼 성과 재생산의 정치』, 후마니타스.” 『한국여성학』 제35권 제1호.
조은주. 2018. "‘저출산 고령사회’, 우리에게 던져진 질문.” 고한석 외 지음. 『한국의 논점 2019』. 북바이북.
조은주. 2018. "‘가족’ 이후에 관한 질문들.” 『황해문화』 2018년 봄호.
Eunjoo Cho. 2014. "Population Control and Local Elites in the ‘Third World’: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Postcolonial South Korea." Rockefeller Archive Center (RAC) Research Reports.

연구비,장학금 및 수상실적

[연구비, 장학금]
아모레퍼시픽재단 연구비 (2019)
Rockefeller Archive Center Grant Award (2013)
Harvard-Yenching Institute Fellowship (2008-2010)
연세대학교 특별장학생 (1994)

[수상]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가족과 통치: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 2019)
한국사회학회 저서상 (『가족과 통치: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 2018)
연세대학교 우수강사상 (2015)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사회과학부문 우수논문상 (2012)
전국 사회학과 대학원생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