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 전공 소개
문헌정보학은 정보이용자들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정보의 수집, 조직, 축적, 검색, 분석, 해석 및 전달과 관련된 접근 방식을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 분야입니다.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이용자가 정보 자원에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식의 생성과 전달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문헌정보학은 정보서비스, 정보조직, 정보 리터러시 교육, 정보 기술, 정보학, 도서관 · 정보센터 경영, 데이터 관리와 분석, 정보이용자 연구, 이용자 경험과 인터랙션 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합니다.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는 1980년 3월에 도서관학과로 설립된 후, 1990년 정보사회의 변화에 부응하여 학과명을 문헌정보학과로 변경하였습니다.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는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및 전문도서관에서 활약할 사서(교사)뿐만 아니라, 디지털 및 데이터 시대에 필요한 정보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는 국제저긍로 뛰어난 연구실적을 갖춘 전 세계 문헌정보학과가 참여할 수 있는 iSchools 컨소시엄에 2021년에 회원으로 가입하였습니다.
진로와 전망
1) 사서와 사서교사
문헌정보학과 졸업생은 문헌정보학사 학위와 2급 정사서 자격증을 취득하며, 교직 과정 이수자의 경우 2급 사서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졸업 후 국가도서관,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각종 기업체·연구소·병원의 전문도서관(정보센터), 초·중·고등학교의 학교도서관 등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2) 대학원 진학
연구소,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전문도서관은 석·박사 학위 소지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학도서관에서 전문 사서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도 석사 과정에서의 연구 경험이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학계에 진출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3) 정보산업, IT분야 및 데이터 분석 전문가
문헌정보학과 졸업생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전문가로서 기본 소양을 갖추게 됩니다. IT융합 연계 전공 과정 또는 관련 전공을 복수전공/부전공한 후, 웹 컨텐츠 기획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UX 디자인 개발 등의 분야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큐레이션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 등을 통하여 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4) 기록물 전문가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기록관에서 주로 근무하며 기록물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기록물 관리 전문 요원이 되기 위해서는 (1)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하거나 (2)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행정안전부 장관이 시행하는 기록물 관리 전문 요원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을 취득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