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외에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부안군의 지원을 받아 19세기 부안출신의 유생 기행현이 쓴 『홍재일기』를 국역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학을 비롯한 부안 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적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활동으로 본 연구소는 전북지역의 새로운 자료 발굴과 지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또한 전북대학교 인문역량강화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호남실학 특강>을 진행하고, 전북대학교 박물관과 공동으로 호남지역 관련 고문서 특강을 실시하여, 학부생과 대학원생에게 호남실학에 대한 관심과 고문서 해독능력을 증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소는 그동안 호남유학과 실학을 대표하는 이재 황윤석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고 그가 남긴 일기인 『이재난고』를 꾸준히 번역하여 역량을 축적해온 만큼 황윤석을 중심으로 한 호남실학 즉 반계 유형원⟶이재 황윤석⟶다산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호남실학의 특색과 가치를 연구하는 중견연구소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전북대학교 인문역량강화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호남실학 특강>을 진행하고, 전북대학교 박물관과 공동으로 호남지역 관련 고문서 특강을 실시하여, 학부생과 대학원생에게 호남실학에 대한 관심과 고문서 해독능력을 증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소는 그동안 호남유학과 실학을 대표하는 이재 황윤석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고 그가 남긴 일기인 『이재난고』를 꾸준히 번역하여 역량을 축적해온 만큼 황윤석을 중심으로 한 호남실학 즉 반계 유형원⟶이재 황윤석⟶다산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호남실학의 특색과 가치를 연구하는 중견연구소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번호 | 연구과제명 | 지원기관 | 총 연구기간 |
---|---|---|---|
1 |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구축사업 (3단계 1~4차년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07. ~ 2018. 06. |
2 | 디지털무주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6. 06. ~ 2017. 02. |
3 | 디지털완주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7. 10. ~ 2018. 09. |
4 | 임실군지 원고집필 학술용역 | 임실군 | 2017. 07. ~ 2018. 12. |
5 | 전북권 기초자료 조사 수집 및 DB화 사업 | 한국학호남진흥원 | 2018. 10. ~ 2018. 12. |
6 | 조선시대 문과 複本試券의 수집 및 정리(2019~2022)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06. ~ 2021. 05. |
7 | 문화재안내판 문안 및 집필 용역 | 전주시 | 2019. 08. ~ 2019. 10. |
8 | 디지털부안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11. ~ 2020. 11. |
9 | 문화재안내판 문안 및 집필 용역 | 전주시 | 2020. 03. ~ 2020. 06. |
10 | 홍재일기 국역 및 학술연구 1차년도 | 부안군 | 2020. 05. ~ 2020. 12. |
11 | 전북지방의 향교와 서원사우 연구 -무진장 지역을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 2020. 11. ~ 2021. 10. |
12 | 문화재안내판 문안 집필 용역 | 전주시 | 2021. 02. ~ 2021. 05. |
13 | 홍재일기 국역 및 학술연구 2차년도 | 부안군 | 2020. 05. ~ 2020. 12. |
14 | 호남의 사상과 문화 연구 | 전북대 | 2021. 09. ~ 2023. 02. |
15 | 홍재일기 국역 및 학술연구 | 부안군 | 2022. 03. ~ 2022. 11. |
16 | 2022년 전북권 고문헌 조사 및 DB화 사업 | 한국학호남진흥원 | 2022. 07. ~ 2022. 11. |
17 | 디지털정읍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2. 08. ~ 2023. 09. |
18 | 후백제 역사문화권 정비방향 국회토론회 | 전주시 | 2023. 02. ~ 2023. 06. |
19 | 동암문고 현황조사 및 활용계획 수립 | 전주시, 전북도청 | 2023. 06. ~ 2023. 12. |
20 | 남원시 고서, 고문서 현황조사 용역 | 남원시 | 2023. 07. ~ 2023. 12. |
21 | 지역 기록화 사업 모델의 제시: 김제시 죽산면, 부랑면을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 2024. 07. ~ 2025. 02. |
22 | 오치행 묘와 묘비 향토문화유산 지정신청서 학술용역 | 함양오씨 금남공파 종중 | 2024. 08. ~ 2024. 10. |
23 | 이재난고 보물 승격을 위한 국회 토론회 용역 | 고창군 | 2024. 11. ~ 2025. 01. |
24 | 『이재난고』 「이재연보」 텍스트화 | 고창군 | 2025. 03. ~ 2025. 12. |
25 | 고창황윤석 생가 국가민속문화유산 승격 용역 | 고창군 | 2025. 03. ~ 2025. 08. |
26 | 지역 기록화 사업 모델의 제시: 김제시 죽산면, 부랑면을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 2025. 04. ~ 2026.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