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단 설립 배경
배경 1. 거시 트랜드 분석
농축산식품분야와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 기술 측면에서 트랜드를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위기, 환경오염, 식량자급량 하락, 식품안전문제 등 현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 R&D 요구가 주요하게 대두되고 있고, 특히 기후변화 위기는 농업현장에서 매우 심각한 결과들을 초래하고 있다.
분야 | 문제 및 해결방향 |
---|---|
정치 | 농업∙농촌 일자리 지원 대책 강구 (스마트팜 확산, 해외 수출시장 다변화), 공익직불제 안착 (농업의 공익적인 기능에 무게중심) / 농축산식품부 2020년 정책방향 → 농업의 공익적인 기능 강화를 위하여, 보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관련된 행정 및 연구 기반 확보가 필요 |
경제 | 농업 생산액 증가 (전년대비 0.8% 증가한 50조: 재배업 30조, 축잠업 20조) 경지면적 감소 (전년대비 0.6% 감소한 160만 ha) / 농업전망 (2020) → 농업의 공익적인 기능 확대를 위한 안전하고 고효율의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 |
사회 | “안전 먹거리 확대”와 “농식품에 4차산업혁명 접목” / 농업전망 (2020) → 농산물 식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노력 필요 |
기술 | 농업분야 R&D 투자 증가 (연평균 14% 증가, 9930억원/2019년 = 국가 전체 R&D의 4.8%) / 농업전망 (2020) → 대내외 농업환경 변화 대응 R&D, 현장 문제 해결형 R&D, ICT/BT 기회 요인 기반 R&D 요구도 증가 / 농업전망 2020 |
배경 2. 기후변화 위기
Global Risk Report 2020에서는 지구상에서 발생되는 10대 위기를 선정하였는데, 기후변화 대응실패, 감염 질병, 대량살상무기, 생물다양성의 감소, 가혹한 기후, 수자원 부족, 정보기반 붕괴, 자연재해, 사이버공격, 시설붕괴가 해당되며, 농업 생산측면에서 우리는 기후변화대응 실패, 감염 질병, 생물다양성의 감소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실패는 도시구조의 변화, 농업 수확물 감소, 소비재 가격상승, 질병 재해 증가, 수자원 부족, 자원경쟁 가속화, 노동력 감소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병해충, 중금속, 병원균, 바이러스, 불량한 영양관리 및 식품 위생 (작물, 축산, 식품) 등으로 인해 농축산식품 분야의 수확물 감소와 질변 재해가 증가한다.
교육연구단 비전 및 목표
비전과 미션, 그리고 목표
❝ 세계 10위 One-Stop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 대학원 ❞
![](/sites/style/images/icon/type03/icon05.png)
- 식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방제 교육 프로그램
- 축산 건강관리 및 위해요소 분석 및 관리 교육 프로그램
- 식품 위해 미생물 및 관리 교육 프로그램
![](/sites/style/images/icon/type03/icon08.png)
- 작물 생산 위해 요소 제어 기술 (병해충 및 유해 미생물 제어)
- 축산 위해 요소 분석 및 제어 기술 (축산 강건성 관리)
- 식품 위해 요소 분석 및 제어 기술 (식품 유해 미생물 제어)
![](/sites/style/images/icon/type03/icon10.png)
- 세계 대학 및 연구소와 인적 네크워크 구축 및 교류
- 국제화 교육과정 운영
- 국제 학술 교류 활성화
추진 방법
시간과 공간의 범위를 다양하게 확대하여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농축산식품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운영, 농진청/산업체 (대학+산업) 공동 커리큘럼 구성, 수요기관 기반 현장 실무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기술융합 프로그램 운영(교육과 연구의 선순환 구조 구축), Industry CEO 강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On campus
- Online campus
- Open campus
연구의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가능하도록 연구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대학 주도 R&D와 산업체 주도 R&D의 융합, Satellite lab 운영, Start-Up 창출, 강의 부담 경감 (Lab-meeting 학점화), 신진연구 인력 지원 프로그램 운영, 학부생-연구실 Fun Lab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In-house lab
- Satellite lab
- Start-Up lab
국제 공동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사회문제 해결할 계획이다. 신진연구기관(First Mover)에 대한 bench marketing을 통해 Fast Follower 역할을 수행하며, 국제 공동 교과목 및 공동 연구 프로젝트 운영, 국제 공동 세미나 운영, 국제 공동 지식재산권 확보를 진행한다.
- Cooperative learning
- Cooperative lab
- Cooperative IP (patent)
![](/sites/style/images/icon/type01/icon05.png)
성과 목표
- 교육 : 석사 52명, 박사 20명 양성
- 연구 : 논문 50편, 특허 30건, 기술이전 10건
- 국제화 : 국제 공동연구프로그램 5건 개발
기대효과
학문적 발전에 미치는 기대효과
- 공동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한 농축산식품 위해요소 제어기술을 보유한 고급 연구 인력의 양성
- 농축산식품 위해요소 제어기술 관련 원천 기술 확보
- 원천기술 (논문 & 특허)을 기반으로 한 신규 산업 창출의 학문적 원동력 제공
사회 · 경제적 발전에 미치는 기대효과
- 기술이전 및 상용화를 통한 현장 대응 및 신규 시장 형성에 기여
- 농축산식품 위해요소 제어 원천 기술 발굴과 인재양성을 통한 관련 시장의 활성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
- 작물, 가축, 식품 생산과정에 발생하는 위해요소 제어를 통한 경제적 비용 절감
- 위해요소 제어 원천기술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적 이익 추구
- 위해요소 제어 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4차 산업으로서의 농업의 위상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