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교육과정
번호 | 학수구분 | 과목명 (영문) / 교과목 내용 | 학점-강의-실습 | 담당교수 |
---|---|---|---|---|
1 | 전공 | 식품생물화학특론 (Advanced Food Biological Chemistry) | 3-3-0 | 김광표 |
식품의 주요 물질인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의 구조와 특성, 효소반응의 기본개념 및 생체대사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을 분자수준에서 해석하고 응용한다. | ||||
2 | 전공 | 고급식품분자생물학 (Advanced Food Molecular Biology) | 3-3-0 | 김광표 |
일반적 DNA의 복제, 전사 및 번역 등에 대한 기초 지식들이 식품의 섭취 등에 따른 다양한 변화 연구 및 제품 개발에 실제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 ||||
3 | 전공 | 분자식품병원체학 (Molecular Foodborne Pathogens) | 3-3-0 | 김광표 |
다양한 식품유래병원균들의 병유발 및 제어기작 등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러한 지식들이 병원체 제어에 실제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 ||||
4 | 전공 | 식품신제품개발세미나 (Seminar for New Food Product Development) | 3-3-0 | 김광표 |
식품신제품 개발에 관한 이론 및 실제를 다양한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습득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
5 | 전공 | HACCP세미나 (HACCP Seminar) | 3-3-0 | 김광표 |
다양한 식품공장 등에서의 HACCP 계획의 설립 및 실행 등을 다양한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이해하고, 한계 및 발전 방안 등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
6 | 전공 | 농업해충학특론 (Advanced Pest Management) | 3-3-0 | 김재수 |
농업 작물생산에서 문제가 되는 위해요소로서 곤충을 포함한 해충의 기본 생태, 생리, 분류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해충의 예찰, 방제와 관련된 기초 및 응용지식을 습득하는기회를 제공한다. | ||||
7 | 전공 | 곤충생태학특론 (Advanced Insect Ecology) | 3-3-0 | 김재수 |
곤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인자와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곤충 및 해충의 이동, 분산, 생식, 군집활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
8 | 전공 | 생물학적방제특론 (Advanced Biological Control) | 3-3-0 | 김재수 |
생물적 방제의 효과적인 현장적용을 위한 다양한 case-study를 통하여 생물농약 적용 전략, 생물농약 개발 R&D 흐름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와 적용사례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
9 | 전공 |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 3-3-0 | 김재수 |
생물적 방제의 대상인 해충에 대한 생물적 방제 방법에 대한 기본 원리 방제 인자의 주요 특성을 설명하고, 특히 세균, 진균, 바이러스, 선충의 적용 가능성과 작용기작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제공한다. | ||||
10 | 전공 | 스마트센싱특론 (Smart Sensing in Agriculture) | 3-3-0 | 김성민 |
농축산식품 분야에서 발생하는 위해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원리 및 방법을 이해한다. | ||||
11 | 전공 | 바이오센서공학 (Biosensor in Agriculture) | 3-3-0 | 김성민 |
농축산식품 분야에서 바이오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 원리 및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 ||||
12 | 전공 | 데이터시각화설계 (Design of Data Visualization) | 3-3-0 | 김성민 |
실험 및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
13 | 전공 | 비파괴위해요소검출 (Nondestructive Hazard Factor Decetion Techniques in Agriculture) | 3-2-2 | 김성민 |
농축산식품에서의 비파괴적 위해요소 검출 원리 및 최신 기술 동향을 이해한다. | ||||
14 | 전공 | 생물공학특론 (Advanced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 3-3-0 | 서동호 |
생물공학의 상류 및 하류공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식품 및 농생명분야에서의 생물공학 역할 및 활용에 대해서 종합적인 이해한다. | ||||
15 | 전공 | 고등효소공학 (Special Topic in Enzyme Engineering) | 3-3-0 | 서동호 |
효소의 반응 메커니즘 및 효소의 개량 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농축산식품 산업에 대한 새로운 산업적 응용을 이해한다. | ||||
16 | 전공 | 위해요소제어효소특론 (Advanced Enzymology for Risk Management Technique) | 3-3-0 | 서동호 |
효소를 활용하여 농생물식품 분야의 위해요소를 제어하는 이론적 지식과 이의 적용 및 활용 기술을 습득한다. | ||||
17 | 전공 | 식품생물공학연구세미나 (Food Biotechnology Research Seminar) | 3-2-2 | 서동호 |
농축산식품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최신 식품생물공학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 ||||
18 | 전공 | 세포신호전달론 (Special Topics in Recent Celluar Signalings) | 3-3-0 | 송기덕 |
동물해요소에 반응 및 방어 관련 신호전달 기전을 이해하고 제어기술 개발의 이론을 습득한다. | ||||
19 | 전공 | 동물생명공학론 (Advance Animal Biotechnology) | 3-3-0 | 송기덕 |
동물 위해 요소 제어를 위한 동물생명공학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 ||||
20 | 전공 | 비교면역학특론 (Special Topics in Comparative Immunology) | 3-3-0 | 송기덕 |
경제가축에서 위해요소에 대응하는 면역반응을 이해하여 위해요소에 대한 면역학적 제어기술 개발의 이론적 배경을 습득한다. | ||||
21 | 전공 | 동식물위해요소각론 (Understanding of Animal and Plant Hazard Factors) | 3-3-0 | 송기덕 |
동물에서 전주기에 걸쳐서 위해요소의 검출, 평가, 제어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 ||||
22 | ?? | 유식품미생물학 (Dairy Food Microbiology) | 3-3-0 | 송수연 |
유식품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및 지식을 습득하고 식품 미생물학 기본실험 원리를 습득한다. | ||||
23 | ?? | 유식품위생학특론 (Advanced Dairy Food Safety and Hygiene | 3-3-0 | 송수연 |
유식품의 생산, 가공, 보존,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해요소 분석 및 제어를 통해 안전한 유식품 생산을 위한 관리방법을 학습한다. | ||||
24 | ?? | 프로바이오틱스특론 (Advanced Probiotics) | 3-3-0 | 송수연 |
프로바이오틱 기능을 가진 미생물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프로바이오틱스의 생리 및 종류를 알아보고 프로바이오틱스가 숙주에서 미치는 다양한 효과와 그 메카니즘에 대해서 학습한다. | ||||
25 | 전공 | 동물유전정보학론 (Advanced Animal Bioinformatics) | 3-3-0 | 신동현 |
경제 가축 산업에서 위해요소에 대응하는 기술과 관련된 생물정보학 지식을 습득한다. | ||||
26 | 전공 | 동물생산환경학특론 (Special Topics in Animal Production Environment) | 3-3-0 | 신동현 |
경제 가축 산업에서 위해요소에 대응하는 생산환경관련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 ||||
27 | 전공 | 동물유전정보학특론 (Speical Topics in Animal Bioinformatics) | 3-3-0 | 신동현 |
경제 가축 산업에서 위해요소에 대응하는 기술과 관련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 ||||
28 | 전공 | 환경저부하형동물생산현장실습2 (Practice of Animal Production Technology 2) | 3-2-2 | 신동현 |
최신 환경저부하형 축산기술 개발 이론 및 현장 활용 프로그램 운영 사례분석 도출한다. | ||||
29 | 전공 | 경제동물생리학특론 (Economic Animal Physiology) | 3-3-0 | 심관섭 |
경제동물의 생명현상과 항상성 유지, 혈액순환, 면역, 호흡, 신장, 소화, 내분비, 근육, 번식 등의 지식을 학습한다. | ||||
30 | 전공 | 동물단백체학특론 (Advanced Animal Proteomics) | 3-3-0 | 심관섭 |
동물의 세포내 또는 개체의 총체적 단백질 기능 및 변화에 대하여 이해한다. | ||||
31 | 전공 | 동식물위해요소제어현장실습2 (Animal and Plant Hazard Controlling Field Practice 2) | 3-2-2 | 심관섭 |
동물과 식물의 위해요소들을 모니터링하고 현장실습을 통하여 제어기술을 습득한다. | ||||
32 | 전공 | 식품미생물학특론 (Advanced Food Microbiology) | 3-3-0 | 윤순일 |
미생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유효미생물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및 위해미생물의 제어방법을 습득하고, 식품의 가공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미생물의 역할 및 활용에 대해서 학습한다. | ||||
33 | 전공 | 식품위생학특론 (Advanced Food Sanitation) | 3-3-0 | 윤순일 |
식품의 안전확보를 위해 식품 원재료에 대한 지식, 개인위생, 각종 유해물질의 생산 및 작용 메카니즘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식품의 가공, 보존,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해요소 파악 및 관리기술을 습득한다. | ||||
34 | 전공 | 식품위해요소제어각론 (Advanced Food Risk Management) | 3-3-0 | 윤순일 |
식품의 가공, 저장 중에 발생되는 위해요소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제어물질 또는 제어기술의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식품의 안전성 증진 및 확보 방안을 학습한다. | ||||
35 | 전공 | 산업미생물학세미나 (Industrial Microbiology Seminar) | 3-3-0 | 윤순일 |
식품산업 현장에서 유효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품질 개선 및 발효를 통한 새로운 식품의 개발에 대한 이해와 위해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기본적인 식품미생물학의 기초지식을 통해 이해하고 그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 ||||
36 | 전공 | 곤충 분자생물학 및 생리학 (Insect molecular biology and physiology) | 3-3-0 | 윤준선 |
곤충의 행동, 생리, 생태를 분자생물학 그리고 생리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방제의 기초원리 및 작용기작을 파악할 있다. | ||||
37 | 전공 | 곤충과 식물의 관계 특론(Advanced Insect Plant Relationship) | 3-3-0 | 윤준선 |
이 과목은 식물과 곤충간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 배운다.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과 그 진화를 탐구하고 그 식물에 대한 곤충의 감각, 생리 및 행동 적응, 생태학 등 다양한 원리를 배운다. | ||||
38 | 전공 | 농축산식품융합학과 통합 세미나 (Special Seminar Series) | 3-3-0 | 윤준선 |
농축산식품융합학 교수의 전공분야와 현재연구분야를 알아가는 세미나 수업이다. 본 세미나 수업을 통해 농축산식품융합학과의 모든 참여교수의 전공 분야를 이해하고, 각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 ||||
39 | 전공 |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 특론 (Advanced Moelcular Biology and Cell Biology) | 3-3-0 | 윤준선 |
PCR, Gel electrophoresis, Real-time pcr, Western Blot, cell culture 등의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적 원리를 습득하고, 실험실에서의 다양한 활용방법에 대해 토론해본다. | ||||
40 | 전공 | 근권미생물학특론 (Advanced Rhizosphere Microbiology) | 3-3-0 | 이지훈 |
식물 근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생리 및 종류, 분포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양한 미생물의 특성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에 의해 변화되는 근권미생물상의 변화 등 상호 미치는 영향 및 그 기작에 대해 학습한다. | ||||
41 | 전공 | 환경오염미생물학특론 (Advanced Microbiology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3-3-0 | 이지훈 |
농업환경을 포함한 일반 토양 및 수질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에 대해 미생물의 활용과 적용에 대해 습득하고, 지방족, 방향족, 지환족 등의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미생물에 의한 분해 기작을 이해하고, 금속 오염물질과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오염저감 기작에 대해 학습한다. | ||||
42 | 전공 | 농업환경마이크로바이옴분석실습 (Microbiome Analysi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 3-2-2 | 이지훈 |
식물 근권 토양 및 다양한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상에 대해 최신기술인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활용한 다양한 분석법을 소개하고, Miseq을 활용하여 획득한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Mothur, Qiime, Usearch 등을 활용한 분석법을 설명하고, Mothur를 활용한 분석을 실습한다. | ||||
43 | 전공 | 식물미생물관계특론 (Advanced Plant-Microbe Interaction) | 3-3-0 | 이지훈 |
식물의 건강성과 병해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근권, 균근 등의 식물 뿌리와 미생물의 상호작용, 질소고정, 호르몬 교환 등 식물과 미생물이 상호 미치는 상리 및 편리 등의 공생적 관계의 종류와 영향에 대해 학습한다. | ||||
44 | 전공 | 국제농축산업학론 (Advanced International Agroindustry) | 3-3-0 | 이학교 |
국제적 농산업 동향 및 산업 특화 전략 수립 | ||||
45 | 전공 | 환경저부하형동물생산각론 (Advanced Technology of Environmental Load) | 3-3-0 | 이학교 |
저투입, 온실가스 저감형 축산기술 개발 이론 및 현장 활용 프로그램 | ||||
46 | 전공 | 환경저부하형동물생산현장실습1 (Practice of Animal Production Technology) | 3-3-0 | 이학교 |
저투입, 온실가스 저감형 축산기술 개발 이론 및 현장 활용 프로그램 운영 사례분석 도출 | ||||
47 | 전공 | 식물병리학특론 (Advanced Plant Pathology) | 3-3-0 | 최인영 |
식물에게 해를 가해하는 병의 종류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병원체 및 환경조건에 의해 유발되는 식물질병의 진단, 예방 및 치료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며, 학술적 이론과 실험을 통하여 실무 능력을 주지시키는 학문이다. | ||||
48 | 전공 | 수목병리학특론 (Advanced Forest Pathology) | 3-3-0 | 최인영 |
나무와 식물병원균과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삼림보호 측면에서 식물병원균의 생활사를 연구하여 병의 진단, 예방 및 치료방법에 대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문이다. | ||||
49 | 전공 | 식물균류병학특론 (Advanced Fungal Disease in Plant) | 3-3-0 | 최인영 |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병원균에 대해 여러 가지 진단법을 통해서 진단하고, 병원균의 분류학적 위치, 형태, 생리, 생태적 성질, 그리고 전염경로와 발병환경 및 방제에 대해 강의한다. | ||||
50 | 전공 | 동물후성유전학 (Advanced Animal Epigenetics) | 3-3-0 | 최현우 |
동물 세포는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분화된 세포로서 동등한 유전체를 지니고 있지만 각 세포에서 특이 유전자를 발현하게 된다. 동물후성유전학 강의에서는 히스톤 변형, DNA 메틸레이션 등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후성유전적 변화에 대해서 이해한다. | ||||
51 | 전공 | 동물발생공학 (Animal Developmental Biotechnology) | 3-3-0 | 최현우 |
배아의 형성은 수정에 의한 수정란 생산부터 난할, 낭배형성과정을 통해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고 특화된 세포는 서로 모여 조직 및 장기 형성을 하게 된다. 동물발생공학 강의에서 동물의 발생의 원리, 세포 분화, 조직 및 장기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유전자 결함과 환경요인에 의한 돌연변이 형성에 대해 알아본다. | ||||
52 | 전공 | 동물면역학특론 (Advanced Animal Immunology) | 3-3-0 | 최현우 |
동물 체내 면역 시스템과 병원체 방어 기작에 대해 이해한다. | ||||
53 | 전공 | 동식물위해요소제어현장실습1 (Animal and Plant Hazard Controlling Field Practice 1) | 3-2-2 | 최현우 |
동물과 식물의 위해요소들을 모니터링하고 현장실습을 통하여 제어기술을 습득한다. |